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아파트 인테리어
- 반셀프 인테리어
- 이진우의손에잡히는경제
- 재테크
- 이진우기자
- 손경제
- 경제
- 반셀프인테리어
- matplotlib 샘플
- 경제뉴스
- 경제공부
- 전세난
- 삼프로 이프로
- 신혼집 인테리어
- 방산시장
- 주식투자 기본
- matplotlib
- 아파트 반셀프 인테리어
- 손에잡히는경제
- 이진우
- 파이썬
- 리모델링
- 동학개미운동
- 인테리어
- 아파트인테리어
-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 삼프로이진우
- 30평대 아파트 인테리어
- 이진우의 손에잡히는 경제
- 손에잡히는 경제
- Today
- Total
끄적끄적
미 대선, 우리나라와 다른 점은? (대선일, 방식 간단 정리) 본문
어느덧 11월입니다. 찬바람이 불면서 미 대선일이 훌쩍 다가왔습니다.
미 대선은 11월 첫 번째 월요일 다음 날인 화요일 치러집니다.
정치, 경제적으로 미국과 연관이 많은 우리나라도 미 대선 결과에 관심이 많습니다.
뉴스를 보다보면 미 대선은 우리나라 대통령 선거와 다른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오늘은 미 대선과 우리나라 대선의 형식상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미국은 연방제 국가로, 유권자가 대통령을 직접 투표하는 직접 투표제가 아닌 선거인단을 투표하는 간접투표제입니다.
11월 3일에 미 대선은 바로 이 선거인단에 투표하는 날입니다.
선거인단 358명은 각 주의 하원·상원의원 수의 합으로, 각 주의 인구수에 비례합니다.
인구가 많은 캘리포니아주는 선거인단이 55명으로 가장 많고, 인구가 적은 알래스카는 선거인단이 3명입니다.
아래 이미지를 보면 각 주의 선거인단 수를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뽑힌 선거인단 538명이 대통령을 뽑게 됩니다. 선거인단 투표가 실질적인 대통령 선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선출된 선거인단은 12월 14일 각 주의 수도에 모여 대통령 후보와 부통령 후보에 대한 투표를 합니다.
역사적으로 선거인단 투표에서 결과가 뒤집힌 적은 없다고 합니다.
그리고 또 하나 우리가 알아야 하는 것은 선거인단 투표가 승자독식 방식(Winner-Take-All)이라는 겁니다.
특정 후보가 1표만 더 많이 득표해도 그 주의 선거인단을 모두 가져가게 됩니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 주에서 A후보가 B후보보다 1표만 더 획득해도 선거인단 55명을 독식하게 됩니다.
B후보에 대한 표는 모두 사표가 되는 거죠.
2016년 대선에서 트럼프보다 힐러리의 표가 더 많았지만, 트럼프가 대통령이 된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미국 대선 방식 간단 정리
1. 각 주의 유권자는 선거인단을 뽑는다.
2. 선거인단은 승자독식 방식이다.
3. 선거인단이 대통령, 부통령을 뽑는다.
이상으로 미 대선 방식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시사,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상원, 하원 1분만에 이해하기 (0) | 2020.11.0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