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이진우의 손에잡히는 경제
- 아파트 인테리어
- 리모델링
- 반셀프 인테리어
- 경제
- 이진우기자
- 아파트 반셀프 인테리어
- matplotlib
- 삼프로이진우
- 경제뉴스
- 파이썬
- 손에잡히는 경제
- 30평대 아파트 인테리어
- 삼프로 이프로
- 전세난
- 경제공부
- 아파트인테리어
- 인테리어
- 주식투자 기본
-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 신혼집 인테리어
- 손에잡히는경제
- 재테크
- 이진우의손에잡히는경제
- 손경제
- 반셀프인테리어
- 방산시장
- 이진우
- 동학개미운동
- matplotlib 샘플
- Today
- Total
목록시사,상식 (2)
끄적끄적

미국 정치 뉴스를 보다 보면 상원의원, 하원의원 이런 단어들을 자주 접할 수 있습니다. 단원제(일원제)를 채택하고 있는 우리나라에는 없는 개념이라 생소한 단어입니다. 오늘은 상원의원, 하원의원이 무엇이고 어떤 일을 하는지 대해 간단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미국 양원제의 배경 미국은 50개의 주가 모인 연방제 국가입니다. 50개의 주가 연방 의회를 꾸린다고 하면 의회를 어떻게 구성해야 할까요? 주마다 의원수가 같다면 인구가 많은 주가 손해를 볼 것이고, 인구 숫자 비례로 의원수를 정하면 주별 대표성이 떨어질 것입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은 '코네티컷 타협'을 통해 의회를 둘로 나눴습니다. 한쪽은 인구 비례에 따라(하원), 한쪽은 주마다 모두 동일한 의원수(상원)를 선출하기로 합의한 것입니다. 이..

어느덧 11월입니다. 찬바람이 불면서 미 대선일이 훌쩍 다가왔습니다. 미 대선은 11월 첫 번째 월요일 다음 날인 화요일 치러집니다. 정치, 경제적으로 미국과 연관이 많은 우리나라도 미 대선 결과에 관심이 많습니다. 뉴스를 보다보면 미 대선은 우리나라 대통령 선거와 다른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오늘은 미 대선과 우리나라 대선의 형식상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미국은 연방제 국가로, 유권자가 대통령을 직접 투표하는 직접 투표제가 아닌 선거인단을 투표하는 간접투표제입니다. 11월 3일에 미 대선은 바로 이 선거인단에 투표하는 날입니다. 선거인단 358명은 각 주의 하원·상원의원 수의 합으로, 각 주의 인구수에 비례합니다. 인구가 많은 캘리포니아주는 선거인단이 55명으로 가장 많고,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