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전세난
- 아파트 인테리어
-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 이진우
- 이진우의손에잡히는경제
- 재테크
- 손에잡히는 경제
- 삼프로이진우
- 아파트인테리어
- 방산시장
- 경제공부
- 리모델링
- 파이썬
- 삼프로 이프로
- 이진우의 손에잡히는 경제
- matplotlib
- 아파트 반셀프 인테리어
- matplotlib 샘플
- 동학개미운동
- 손경제
- 이진우기자
- 30평대 아파트 인테리어
- 손에잡히는경제
- 경제뉴스
- 신혼집 인테리어
- 반셀프인테리어
- 주식투자 기본
- 경제
- 인테리어
- 반셀프 인테리어
- Today
- Total
목록주식투자 기본 (2)
끄적끄적

경제 신문이나 재무제표를 보다보면 심심치않게 CB, BW 라는 용어를 볼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CB와 WB가 무엇이고, 기업과 주주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 라는 기업이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가' 기업은 신규제품 개발을 위해 연구비가 필요한데, 현재 회사에 잉여자금이 없습니다. 이런 경우에 회사채를 발행해서 자금을 조달하는데, 저렴한 금리로 자금을 조달하고 싶습니다. 이럴 때 CB, BW처럼 채권에 특수한 권리가 붙어있는 채권을 발행하게 됩니다.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신주인수권부사채 (BW - Bond with Warrant) 간단하게 이야기하면 이름그대로 '채권 + 특정 가격에 주식을 살 수 있는 권리' 가 합쳐진 채권입니다. 채권을 사면 정해진 가격에 주..
주식 투자를 위해 기업을 분석할 때,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지표들을 알아보겠습니다. 기업이 얼마나 돈을 잘 버는가와 기업의 자산이 얼마나 있는지로 구분하여 정리하였습니다. 1. 이익 관련 지표 (기업이 돈을 잘 벌고 있는가) EPS (Earning Per Share, 주당순이익) -> 당기 순이익을 발행 주식수로나눈 값. -> EPS가 높다는 것은 기업이 돈을 잘 벌고 있다는 뜻. PER (Price Earing Ratio, 주가수익비율) -> 기업의 현재 주가를 주당순이익(EPS)로 나눈 값. -> PER이 5이면 5년간 돈을 벌면 이 회사의 시가총액만큼 벌 수 있다는 의미 -> 업종마다 값이 다르다. 같은 업종내에서 비교하는 것이 의미가 있다. ROE (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