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주식투자 기본
- 반셀프인테리어
- 이진우
- 파이썬
- matplotlib 샘플
- 경제뉴스
- 손에잡히는 경제
- 아파트 인테리어
- 동학개미운동
- 삼프로 이프로
- 전세난
- 경제
- 아파트 반셀프 인테리어
- 이진우기자
- 30평대 아파트 인테리어
- 리모델링
- 이진우의손에잡히는경제
- matplotlib
- 삼프로이진우
- 재테크
- 인테리어
- 반셀프 인테리어
- 손에잡히는경제
- 손경제
- 신혼집 인테리어
- 방산시장
- 아파트인테리어
- 경제공부
- 이진우의 손에잡히는 경제
-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Archives
- Today
- Total
끄적끄적
기업 분석을 위한 기초 용어 정리 (EPS,PER, ROE, BPS,PBR) 본문
주식 투자를 위해 기업을 분석할 때,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지표들을 알아보겠습니다.
기업이 얼마나 돈을 잘 버는가와 기업의 자산이 얼마나 있는지로 구분하여 정리하였습니다.
1. 이익 관련 지표 (기업이 돈을 잘 벌고 있는가)
EPS (Earning Per Share, 주당순이익)
-> 당기 순이익을 발행 주식수로나눈 값.
-> EPS가 높다는 것은 기업이 돈을 잘 벌고 있다는 뜻.
PER (Price Earing Ratio, 주가수익비율)
-> 기업의 현재 주가를 주당순이익(EPS)로 나눈 값.
-> PER이 5이면 5년간 돈을 벌면 이 회사의 시가총액만큼 벌 수 있다는 의미
-> 업종마다 값이 다르다. 같은 업종내에서 비교하는 것이 의미가 있다.
ROE (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
-> 순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값
-> 기업이 자기자본을 이용하여 어느정도의 이익을 냈는가를 나타낸다.
-> 높을 수록 좋고, 최소한 시중금리보다 높아야 투자가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2. 자산 관련 지표 (기업이 자산을 얼마나 갖고 있는가)
BPS (Book-value for Share, 주당순자산가치)
-> 현 시점에 기업을 청산했을 때, 1주당 얼마의 가치가 있는지를 보여주는 값.
PBR (Price On Book-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
-> 주가를 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값
-> 기업의 순자산에 비해 주식이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지를 측정한 값으로, 자산가치 측면에서 기업의 가치를 판단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기초 용어 (건폐율, 용적률, 공급면적, 전용면적) 간단 정리 (0) | 2020.10.22 |
---|---|
신혼부부 특별공급(특공)이란 무엇이며, 조건은? (0) | 2020.10.19 |
공매도란 무엇인가요? (0) | 2020.10.15 |
사모펀드, 헤지펀드란 무엇인가요? (0) | 2020.10.14 |
CB(전환사채), BW(신주인수권부사채)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 2020.10.13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