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동학개미운동
- 손에잡히는 경제
- 파이썬
- 이진우의 손에잡히는 경제
- 아파트인테리어
- 경제공부
- 이진우의손에잡히는경제
- 삼프로이진우
- matplotlib
- 손경제
- 반셀프인테리어
- 경제
- 삼프로 이프로
- 방산시장
- 아파트 반셀프 인테리어
- 이진우기자
- 반셀프 인테리어
- 경제뉴스
- 전세난
- 손에잡히는경제
-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 신혼집 인테리어
- 이진우
- 인테리어
- matplotlib 샘플
- 아파트 인테리어
- 주식투자 기본
- 30평대 아파트 인테리어
- 재테크
- 리모델링
- Today
- Total
끄적끄적
부동산 기초 용어 (건폐율, 용적률, 공급면적, 전용면적) 간단 정리 본문
부동산 관련 글을 읽을 때 자주 사용되는 기초 용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건폐율, 용적률, 공급면적, 전용면적)
건폐율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할 수 있는 1층의 면적입니다. '대지 건물 비율' 이라고도 합니다.
예를 들어 대지면적 100㎡, 건폐율 60%인 토지가 있다면, 이 땅에는 1층 면적 60㎡ 인 건물을 지을 수 있습니다.
건폐율을 제한함으로써 대지에 여유 공간을 확보하여 도시의 과밀화를 방지하고
일조,채광,통풍을 통해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건폐율은 아래 표를 참고해주세요
용적률
사전적 의미는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물의 연면적 비율' 로서 건축물에 의한 토지 이용도를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이때 연면적은 지하 부분을 제외한 지상 건축물의 면적을 이야기합니다.
대지면적 100㎡, 용적률이 200%인 토지가 있다고 생각해보겠습니다.
이 토지에 바닥면적 50㎡의 건물을 지으면 4층까지 올릴 수 있습니다.
전체 층수 바닥면적 = 대지면적 x 용적률/100 |
위 토지에 용적률이 300%로 증가한다면 바닥면적 50㎡ 의 건물을 6층까지 올릴 수 있겠죠.
즉 용적률이 높을 수록 동일한 토지에 건물을 높게 올릴 수 있습니다.
주거지역의 용적률과 건폐율은 아래 표를 참고해주세요.
간단하게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A씨가 대지면적 100㎡ 인 땅을 구입했는데, 이 땅은 제3종일반주거지역입니다. 이 땅에 건물을 짓는다면
몇 층짜리 건물을 지을 수 있을까요?
위 표에서 보면 제3종일반주거지역은 건폐율 50%, 용적률 250% 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먼저 건페율이 50%이기 때문에 이 땅에는 1층 바닥면적이 최대 50㎡ 입니다.
50㎡ 로 건물 면적을 잡았을 때 용적률은 250%이기 때문에 최대 5층까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공급면적 / 전용면적
호갱노노와 같은 부동산 정보사이트를 보면 평형을 볼 때 공급, 전용으로 나눠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각각 무엇을 의미하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공급면적
전용면적 + 주거공용면적을 이야기합니다.
위에 이미지에서 봤을 때도 공급면적이 더 크죠? 개인이 사용하는 전용면적에
여러 세대가 공용으로 사용하는 공간이 합해서 그렇습니다.
공용면적은 보통 아파트 복도, 엘레베이터, 계단 같은 공간을 의미합니다.
전용면적
간단하게 이야기하면 '순수하게 나만 사용하는 공간'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공동주택에는 여러 사람이 함께 쓰는 공용면적과 세대가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전용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전용면적은 세대가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공간입니다.
방, 거실, 주방, 욕실 등 순수하게 주거용도로 쓰이는 바닥의 면적이 전용면적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복도, 엘레베이터, 계단 같은 공용으로 사용하는 공간이 빠진 면적이기 때문에 전용면적이 공급면적보다 작습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판 뉴딜? 간단 정리 (0) | 2020.10.30 |
---|---|
대주주 3억 양도세 간단 정리 (0) | 2020.10.23 |
신혼부부 특별공급(특공)이란 무엇이며, 조건은? (0) | 2020.10.19 |
공매도란 무엇인가요? (0) | 2020.10.15 |
사모펀드, 헤지펀드란 무엇인가요? (0) | 2020.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