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손에잡히는경제
- 아파트 인테리어
- 동학개미운동
- 전세난
-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 30평대 아파트 인테리어
- 삼프로 이프로
- 방산시장
- 주식투자 기본
- 신혼집 인테리어
- 아파트인테리어
- 이진우의손에잡히는경제
- 재테크
- 반셀프 인테리어
- 삼프로이진우
- matplotlib
- 손경제
- 아파트 반셀프 인테리어
- 이진우기자
- 인테리어
- 이진우의 손에잡히는 경제
- 리모델링
- 경제
- 손에잡히는 경제
- 경제뉴스
- 경제공부
- matplotlib 샘플
- 반셀프인테리어
- 이진우
- 파이썬
- Today
- Total
목록동학개미운동 (5)
끄적끄적

코로나 시대 이후 국내주식투자 하시는 분들이 부쩍 늘어나면서 동학개미운동이라는 신조어까지 만들어졌습니다.주식에 관심이 있으신 분이라면 최근 이슈가 된 대주주 3억 양도세에 대해 들어보셨을 겁니다.청와대 청원에 올라가 21만명이 참여할정도로 큰 관심을 끌었습니다. (www1.president.go.kr/petitions/592340) 오늘은 대주주 3억 양도세는 무엇이고, 현재 진행사항, 적용되었을 때의 상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대주주 3억 양도세는 무엇인가?간단하게 요약하면 한 종목을 3억이상 보유하고 있으면 대주주로 분류되고,대주주로 분류되면 22~27.5%(지방세 포함)을 내야 합니다.여기서 대주주 요건 기준 금액 3억은 본인과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을 포함한 금액입니다.투자금액이 많더라도 한 종목당 ..

동학개미운동 주춤해진 주식시장, 전망 및 변수 점검 주식시장 긍정적인 시선 - 실물경제 상황 개선되고 있음. - 저축률이 높아짐 -> 소비를 포함 한 심리가 억제되어 있음. 코로나 종식 시 펀더멘탈의 회복력이 빨리질 것. - 관광, 레저에 연간 30조를 사용하는데, 이 돈이 지금 억제되어 있다. - 코로나때문에 돈을 못 쓰는 거라 자본이 응집되어 있고 2021년 이후에 사용할 것으로 예상됨. - 코로나 수혜주들은 이미 주식이 오를 만큼 오른 것은 아닌가? - 코로나 해제되면 더 오를 수 있음. 지금 주가는 지금의 실적만 반영 된 것. - 2008년 금융위기는 금융시스템적인 문제, 현재는 실물경제의 문제이다. 통화정책, 재정정책 모두 사용하고 있음 - 최근 달러 약세는 어떤 변수 -> 신흥국에 대한 투자매..

뉴스를 보다보면 론스타, 엘리엇등 사모펀드 관련 이야기를 자주 접할 수 있는데요, 사모펀드가 무엇인지 정리해보겠습니다. 더불어 헤지펀드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사모펀드 (Private equity fund) 소수의 투자자로부터 사모방식으로 자금을 조성하여 주식, 채권등에 운용하는 펀드입니다.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공모펀드와는 달리 회원들의 구성이 제한적이구요 투자대상, 투자비중 등에 제한이 없어 주식, 채권, 부동산, 원자재 등에 자유롭게 투자할 수 있습니다. 사모투자전문회사로 불리는 PEF가 있는데, PEF는 특정 기업의 주식을 대량 인수해 경영에 참여하는 방식 혹은 지분투자를 집행하여 기업 가치를 높여 되 파는 방법의 수익 창출을 목적으로 합니다. 간단히 정리하자면 소수의 투자자가 알음알음..

경제 신문이나 재무제표를 보다보면 심심치않게 CB, BW 라는 용어를 볼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CB와 WB가 무엇이고, 기업과 주주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 라는 기업이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가' 기업은 신규제품 개발을 위해 연구비가 필요한데, 현재 회사에 잉여자금이 없습니다. 이런 경우에 회사채를 발행해서 자금을 조달하는데, 저렴한 금리로 자금을 조달하고 싶습니다. 이럴 때 CB, BW처럼 채권에 특수한 권리가 붙어있는 채권을 발행하게 됩니다.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신주인수권부사채 (BW - Bond with Warrant) 간단하게 이야기하면 이름그대로 '채권 + 특정 가격에 주식을 살 수 있는 권리' 가 합쳐진 채권입니다. 채권을 사면 정해진 가격에 주..
주식 투자를 위해 기업을 분석할 때,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지표들을 알아보겠습니다. 기업이 얼마나 돈을 잘 버는가와 기업의 자산이 얼마나 있는지로 구분하여 정리하였습니다. 1. 이익 관련 지표 (기업이 돈을 잘 벌고 있는가) EPS (Earning Per Share, 주당순이익) -> 당기 순이익을 발행 주식수로나눈 값. -> EPS가 높다는 것은 기업이 돈을 잘 벌고 있다는 뜻. PER (Price Earing Ratio, 주가수익비율) -> 기업의 현재 주가를 주당순이익(EPS)로 나눈 값. -> PER이 5이면 5년간 돈을 벌면 이 회사의 시가총액만큼 벌 수 있다는 의미 -> 업종마다 값이 다르다. 같은 업종내에서 비교하는 것이 의미가 있다. ROE (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 ..